[ 목차 ]
김장김치는 한국의 겨울철 대표적인 음식으로 각 지역마다 고유한 전통과 맛이 있습니다. 김장철이 다가오면 각 가정에서 지역에 맞는 김장김치를 준비하는데요.
이번에는 전라도식 김장김치와 제주도식 김장김치의 특징에 대해서 소개하고 각 지역에 맞는 김장김치 레시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쉽게 따라하여 맛있는 김치를 만들어 보세요!
전라도와 제주도식 김장김치 특징
전라도식 김장김치 특징
전라도는 농산물과 해산물이 풍부한 지역으로, 평야지역의 다양한 농산물과 서남해의 풍부한 해산물을 바탕으로 다양한 김치를 만든다고 합니다.
따뜻한 기후 덕분에 김치가 쉽게 익기 쉬운 곳이라서 김장을 할 때 고춧가루, 조기젓, 새우젓 등 젓갈을 많이 사용하여 매운맛을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라도식 김치의 양념은 고추를 갈아 젓갈과 함께 섞어 만든 고추 양념을 사용해 칼칼한 맛을 강조하는데요.
찹쌀풀을 사용하여 김치의 국물이 진하고 탁하지만 감칠맛과 깊은 맛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또한, 전라도식 김장김치는 다른 지역 김치들에 비해 짠맛이 강하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습니다.
전라도식 김장김치의 대표적인 종류
대표적인 김치로는 나주의 동치미, 해남의 갓김치, 어리김치, 파래김치, 콩나물김치 등이 있다고 합니다.
제주도식 김장김치 특징
제주도는 섬 지역으로 다양한 식재료가 부족한 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재료와 양념을 사용하여 김치를 만든다고 합니다.
김치의 종류가 많지 않으며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것이 제주도식 김치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또한, 따뜻한 기후 덕분에 겨울에도 신선한 채소를 재배할 수 있어 김장을 많이 하지 않는 편이라고 하는데요. 제주도에서는 재래종 배추의 줄기나 꽃봉우리로 동지김치를 담그기도 한다고 합니다.
제주도는 해산물이 풍부하여 전복 등 각종 해산물을 넣어 만드는 김치도 유명하기도 합니다.
제주도 식 김장김치의 대표적인 종류
대표적인 김치로는 톳김치, 유채나물김치, 전복김치, 꽃대김치 등이 대표적이라고 합니다.
전라도식 김장김치와 제주도 식 김장김치의 차이
전라도식 김장김치는 풍부한 해산물과 농산물을 사용하여 짠맛과 매운맛이 강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추양념과 젓갈이 많이 들어가며 국물이 진하고 깊은 맛을 냅니다.
반면, 제주도식 김장김치는 재료와 양념이 간단하며 본연의 맛을 살리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제주도는 전복이나 귤을 넣는 등 특별한 재료를 사용하여 김치의 맛을 더욱 풍부하게 만듭니다.
오늘 소개한 두 가지 김장김치 레시피는 각 지역의 특색을 잘 살린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전라도식과 제주도식 김치의 맛과 풍미를 집에서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이번 김장철에는 지역의 전통을 이어받아, 건강하고 맛있는 김치를 집에서 즐겨 보세요.
전라도식 김장김치 레시피
전라도식 김장김치 20KG 기준 레시피
김장김치 재료준비
1. 절이기 위한 재료
배추 10포기(20kg)
물 6L, 천일염 1.8kg
2. 육수를 내기 위한 재료
국멸치 25g
디포리 30g
건새우 40g
양파 2개
무 350g
대파 180g
다시마 25g
건표고버섯 25g
말린 대파 뿌리 4개
말린 양파껍질 2.5g
물 4L
3. 호박육수를 내기 위한 재료
잘 손질한 늙은호박 2kg
물 750mL
3. 찹쌀죽 만들기 위한 재료
습식 찹쌀가루 200g
4. 양념을 위해 필요한 재료
무 2개
양파 3개
통마늘 600kg
생강 100g
멸치통젓 460g
갈치속젓 160g
새우젓 180g
붉새우젓 120g
생새우 60g
머리 뗀 황석어젓 180g
멸치 액젓 250ml
고춧가루 1.2kg
설탕 110g
5. 양념을 위해 필요한 부재료
대파 400g
미나리 400g
홍갓 400g
쪽파 250g
말려놓은 청각 40g
무 2개
김장김치 만드는 방법
1. 배추 절이기
배추는 밑동에 칼집을 넣어 손으로 벌려 갈라 준비합니다.
물 6L에 소금 900g을 풀어 녹여서 소금물을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배춧잎 사이사이에 소금물을 끼얹어 적셔줍니다.
배추 줄기 부분에 나머지 소금 900g을 골고루 뿌려줍니다.
큰 통을 준비해서 절인 배추의 속부분이 위로 올라오도록 차곡차곡 쌓아줍니다. 그리고 남은 소금물을 붓습니다.
6시간이 지나면 아래위의 배추 위치를 바꿔줍니다. 그렇게 한 번 뒤집은 다음에는 다시 4~5시간을 절여줍니다.
배추를 접어봤을 때 부러지지 않고 잘 구부러지면 절인 배추가 완성된 것입니다. 절인 배추는 흐르는 물에 세번 정도 헹궈 소금기를 뺀 후 채반에 엎어서 물기를 빼줍니다.
2. 육수
물 4L에 국멸치 25g, 디포리 30g, 건새우 40g, 양파 2개, 무 350g, 대파 180g, 다시마 25g, 건표고버섯 25g, 말린 대파 뿌리 4개, 말린 양파껍질 2.5g을 넣고 강불로 끓여줍니다.
물이 팔팔 끓어오르면 불을 약간 줄이기 30분정도 더 끓여줍니다.
육수를 한번 걸러서 식혀주세요.
3. 호박 육수
손질된 늙은호박 2kg에 물 750ml를 넣고 강불로 끓여줍니다.
물이 팔팔 끓어오르면 중약불로 50분 삶아줍니다.
호박이 뭉개질정도로 부드러워지면 믹서기로 한번 갈아서 준비합니다.
4. 찹쌀죽
습식 찹쌀가루 200g에 육수 300ml를 넣고 잘 섞어줍니다.
육수 1.9L와 호박 육수 1kg를 강불에서 끓여줍니다.
육수가 끓으면 만든 찹쌀물을 부워주고 바닥을 긁어가며 타지않도록 잘 저어주세요.
5분정도 지나서 끓으면 불을 끄고 식혀줍니다.
5. 부재료 손질하기
무 2개는 채썰어 준비합니다.
대파 400g, 미나리 400g, 홍갓 400g, 쪽파 250g는 2~3cm 크기로 적당히 썰어줍니다.
말려놓은 청각 40g은 잘 씻어서 준비합니다.
채썰어 준비한 무에 고춧가루 100g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5. 양념만들기
무 2개, 양파 3개, 통마늘 600kg, 생강 100g을 적당한 크기로 잘 썰어줍니다.
멸치통젓 460g, 갈치속젓 160g, 새우젓 180g, 붉새우젓 120g, 생새우 60g, 머리 뗀 황석어젓 180g, 멸치 액젓 250ml, 육수 400ml을 넣고 갈아줍니다.
여기에 찹쌀죽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고춧가루 1.1kg, 설탕 110g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미리 손질한 각종 야채에 만든 양념을 부어서 잘 섞어줍니다.
6. 만든 양념 넣어주기
배춧잎 사이에 양념을 넣은 후 겉잎으로 전체를 돌려 싸고 단면이 위로 오도록 통에 담아줍니다.
7. 보관하기
통의 80퍼센트 정도로 김치를 담고 푸른 겉잎을 덮어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꼭꼭 눌러줍니다.
하루정도 실온에서 숙성 후 냉장고에 넣고 약 한달 이상 숙성해줍니다.
제주도식 김장김치 레시피
제주도식 김장김치 20KG 기준 레시피
김장김치 재료준비
1. 절이기 위한 재료
배추 5포기
무 6kg
물 3L, 천일염 1.1kg
2. 양념을 위해 필요한 재료
찹쌀풀 400g
다시마육수 1.2L
멸치액젓 600ml
새우젓 150g
다진 마늘 90g
다진 생강 20g
간 새우 400g
고춧가루 500g
멸치 가루 60g
4. 양념을 위해 필요한 부재료
갓 300g
쪽파 300g
손질한 자리돔 2kg
김장김치 만드는 방법
1. 배추 절이기
무는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준비합니다.
200g의 소금을 뿌리고 1시간정도 절여줍니다.
배추는 밑동에 칼집을 넣어 손으로 벌려 갈라 준비합니다.
물 3L에 소금 450g을 풀어 녹여서 소금물을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배춧잎 사이사이에 소금물을 끼얹어 적셔줍니다.
배추 줄기 부분에 나머지 소금 450g을 골고루 뿌려줍니다.
큰 통을 준비해서 절인 배추의 속부분이 위로 올라오도록 차곡차곡 쌓아줍니다. 그리고 남은 소금물을 붓습니다.
6시간이 지나면 아래위의 배추 위치를 바꿔줍니다. 그렇게 한 번 뒤집은 다음에는 다시 4~5시간을 절여줍니다.
배추를 접어봤을 때 부러지지 않고 잘 구부러지면 절인 배추가 완성된 것입니다. 절인 배추와 무는 흐르는 물에 세번 정도 헹궈 소금기를 뺀 후 채반에 엎어서 물기를 빼줍니다. 그리고 배추도 적당한 크기로 잘 썰어줍니다.
2. 부재료 다듬기
자리돔은 비늘을 벗기고 적당한 길이로 회써는 것처럼 썰어 2kg를 준비해줍니다.
갓 300g, 쪽파 300g는 각각 4cm정도의 길이로 썰어줍니다.
5. 양념만들기
찹쌀풀 400g, 다시마육수 1.2L, 멸치액젓 600ml, 새우젓 150g, 다진 마늘 90g, 다진 생강 20g, 간 새우 400g, 고춧가루 500g, 멸치 가루 60g를 모두 섞어 양념을 만들어 줍니다.
손질한 부재료에 준비한 양념을 넣고 잘 섞어줍니다.
6. 만든 양념 넣어주기
준비한 배추와 무에 양념을 잘 버무려줍니다.
7. 보관하기
통의 80퍼센트 정도로 김치를 담고 푸른 겉잎을 덮어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꼭꼭 눌러줍니다.
이틀정도 실온에서 숙성 후 냉장고에 넣고 약 한달 이상 숙성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