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과 충청도식 김장김치 레시피 쉽게 확인하기

by starcats_info 2024. 11. 25.
반응형

[ 목차 ]

     

    서울과 충청도식 김장김치

     

    김장김치는 각 지역마다 고유한 특징이 있으며 김장철이 다가오면 각 가정에서는 지역의 전통을 살린 김장김치를 준비하게 되는데요.

     

    오늘은 서울식 김장김치충청도식 김장김치의 특징에 대해서 소개하고 각 지역에 맞는 김장김치 레시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쉽게 따라하여 맛있는 김치를 만들어 보세요!

    서울과 충청도식 김장김치 특징

    서울식 김장김치 특징

    서울식 김장김치는 경기도식 김장김치와 유사한 특징을 가집니다.

    서울은 수도로서 다양한 재료와 김치의 가짓수가 풍부하며, 김치의 맛도 다양합니다. 특히 간이 너무 세거나 싱겁지 않고, 양념을 잘게 다져 사용하여 깔끔한 맛이 특징입니다.

    또한, 서울식 김치에는 주로 새우젓, 조기젓, 생태젓 등의 젓갈이 사용되어 담백하고 깔끔한 맛을 자아냅니다. 만드는 사람에 따라 생새우나 생갈치를 넣어 더욱 풍성한 맛을 내기도 합니다.

     

    깍두기

    서울식 김장김치의 대표적인 종류

    섞박지, 총각김치, 깍두기, 보쌈김치, 바박김치, 고춧잎깍두기, 동치미, 고구마줄기김치, 오이김치, 석류김치, 꿩김치, 장김치, 미나리김치 등이 있습니다.

     

    충청도식 김장김치 특징

    충청도식 김장김치는 충북의 채소와 충남의 해산물을 활용하여 만들어집니다. 

    충청도에서는 배추와 무를 통째로 담그는 짠지 방식을 사용하며 조기젓, 황석어젓, 새우젓 등을 사용하여 김치에 짭짤한 맛을 더합니다.

    주로 양념을 적게 사용해 맛이 깔끔하고 담백하며 특히 젓갈 맛이 적어 소박하고 시원한 맛이 특징입니다.

    부재료로 삭힌 풋고추, 청각, 미나리, 파 등을 넣어 김치의 풍미를 더합니다.

    가정에 따라 표고버섯, , 밤을 넣어서도 만들기도 합니다.

     

    나박김치

    충청도식 김장김치의 대표적인 종류

    나박김치, 호박김치, 굴 깍두기, 시금치김치, 가지김치 등이 있습니다.

     

    서울식 김장김치와 충청도식 김장김치의 차이

    서울식 김장김치는 좀 더 화려하고 깔끔한 맛이 나는 반면, 충청도식 김장김치는 짠지 방식과 적은 양념으로 소박하고 시원한 맛이 강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각 지역에서 어떤 특산물과 재료를 사용했는지가 김치 맛에 큰 영향을 미치며 주로 서울은 고급 재료를, 충청도는 자연 재료와 소박한 방식을 사용해 김치를 만듭니다.

    서울식 김장김치와 충청도식 김장김치는 각각 고유한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 제공하는 두 가지 레시피 모두 지역의 전통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김장철에 집에서 맛있고 건강한 김치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서울식 김장김치 레시피

    서울식 김장김치 20KG 기준 레시피

    김장김치 재료준비

    1. 절이기 위한 재료

    배추 10포기(20kg)

    6L, 천일염 1.8kg

     

    2. 육수를 내기 위한 재료

    물 2L

    다시마 20g

     

    3. 찹쌀죽 만들기 위한 재료

    불린 찹쌀 200g

    물 1.5kg

     

    4. 양념을 위해 필요한 재료

    다시마물 800g

    찹쌀죽 800g

    고춧가루 1.6kg

    다진마늘 600g

    다진생강 60g

    멸치가루 2T

     

    5. 양념을 위해 필요한 부재료

     2kg

     2

     400g

    쪽파 400g

    부추 300g

     

    6. 양념을 위해 필요한 젓갈

    멸치액젓 700g

    새우젓 160g

    생새우 400g

     

    김장김치 만드는 방법

    1. 배추 절이기

    배추는 밑동에 칼집을 넣어 손으로 벌려 갈라 준비합니다.

     6L에 소금 900g을 풀어 녹여서 소금물을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배춧잎 사이사이에 소금물을 끼얹어 적셔줍니다.

    배추 줄기 부분에 나머지 소금 900g을 골고루 뿌려줍니다.

    큰 통을 준비해서 절인 배추의 속부분이 위로 올라오도록 차곡차곡 쌓아줍니다. 그리고 남은 소금물을 붓습니다.

    6시간이 지나면 아래위의 배추 위치를 바꿔줍니다. 그렇게 한 번 뒤집은 다음에는 다시 4~5시간을 절여줍니다.

    배추를 접어봤을 때 부러지지 않고 잘 구부러지면 절인 배추가 완성된 것입니다. 절인 배추는 흐르는 물에 세번 정도 헹궈 소금기를 뺀 후 채반에 엎어서 물기를 빼줍니다.

     

    2. 육수

    2L에 다시마 20g을 넣어 끓여줍니다.

    물이 팔팔 끓어오르면 7분 정도 두었다가 다시마를 건져내고 식혀줍니다.

    그리고 소분하여 800g정도를 따로 준비합니다.

     

    3. 찹쌀죽

    찹쌀을 불려서 불린 찹쌀을 만들어 줍니.

    불린 찹쌀 200g을 물 1.4kg에 넣고 끓인 다음 식혀줍니다.

    그리고 소분하여 800g정도를 따로 준비합니다.

     

    4. 부재료 다듬기

     2kg와  22mm 굵기로 채썰어줍니다.

     400g, 쪽파 400g, 부추 300g은 각각 4cm정도의 길이로 썰어줍니다.

     

    5. 양념만들기

    생새우 400g은 옅은 소금물에 씻어 건져 물기를 뺀 다음 칼로 잘 저며줍니다.

    무채에 고춧가루 800g을 넣고 버무려 줍니다.

    버무린 무와 야채에 고춧가루 800g, 새우젓 160g, 다진 생새우 400g, 멸치액젓 700g, 다시마물 800g, 다진마늘 600g, 다진생강 60g, 멸치가루 2T를 넣고 버무려줍니다. 

    마지막으로 찹쌀죽 800g을  넣어 잘 버무려줍니다.

     

    6. 만든 양념 넣어주기

    배춧잎 사이에 양념을 넣은 후 겉잎으로 전체를 돌려 싸고 단면이 위로 오도록 통에 담아줍니다.

     

    7. 보관하기

    통의 80퍼센트 정도로 김치를 담고 푸른 겉잎을 덮어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꼭꼭 눌러줍니다.

    36시간정도 실온에서 숙성 후 냉장고에 넣고 약 한달 이상 숙성해줍니다.

     

     

     

     

    충청도식 김장김치 레시피

    충청도식 김장김치 20KG 기준 레시피

    김장김치 재료준비

    1. 절이기 위한 재료

    배추 10포기(20kg)

     6L, 천일염 1.8kg

     

    2. 찹쌀죽 만들기 위한 재료

    찹살가루 3T

    물 600g

     

    3. 양념을 위해 필요한 재료

    찹쌀죽 600g

    고춧가루 1.3kg

    마늘 600g

    생강 60g

    매실청 200g

    소금 1T

     

    4. 양념을 위해 필요한 부재료

     4kg

     2

    양파 3개

     400g

    쪽파 400g

    대파 6개

     

    5. 양념을 위해 필요한 젓갈

    멸치액젓 400g

    새우젓 200g

    생새우 300g

     

    김장김치 만드는 방법

    1. 배추 절이기

    배추는 밑동에 칼집을 넣어 손으로 벌려 갈라 준비합니다.

     6L에 소금 900g을 풀어 녹여서 소금물을 만들어 줍니다. 그리고 배춧잎 사이사이에 소금물을 끼얹어 적셔줍니다.

    배추 줄기 부분에 나머지 소금 900g을 골고루 뿌려줍니다.

    큰 통을 준비해서 절인 배추의 속부분이 위로 올라오도록 차곡차곡 쌓아줍니다. 그리고 남은 소금물을 붓습니다.

    6시간이 지나면 아래위의 배추 위치를 바꿔줍니다. 그렇게 한 번 뒤집은 다음에는 다시 4~5시간을 절여줍니다.

    배추를 접어봤을 때 부러지지 않고 잘 구부러지면 절인 배추가 완성된 것입니다. 절인 배추는 흐르는 물에 세번 정도 헹궈 소금기를 뺀 후 채반에 엎어서 물기를 빼줍니다.

     

    2. 찹쌀죽

    찹살가루 3T와 물 600g을 잘 섞어 찹쌀죽을 준비해줍니다.

     

    3. 부재료 다듬기

    3kg를 채칼을 이용해서 채썰어 줍니다.

    1kg, 양파 3, 2개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줍니다.

    400g, 쪽파 400g, 대파 6개는 각각 4cm정도의 길이로 썰어줍니다.

     

    5. 양념만들기

    무채에 고춧가루 300g을 넣고 버무려 줍니다.

    생새우 300g은 옅은 소금물에 씻어 건져 물기를 빼줍니다.

    자른 무와 양파, 배, 마늘 600g, 생강 60g, 멸치 액젓 200g, 새우젓 200g, 생새우 300g을 믹서기에 넣고 갈아줍니다.

    버무린 무와 야채에 찹쌀풀, 멸치액젓 200g, 매실청 200g, 고춧가루 1kg, 소금 1T를 넣고 버무려줍니다.

     

    6. 만든 양념 넣어주기

    배춧잎 사이에 양념을 넣은 후 겉잎으로 전체를 돌려 싸고 단면이 위로 오도록 통에 담아줍니다.

     

    7. 보관하기

    통의 80퍼센트 정도로 김치를 담고 푸른 겉잎을 덮어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꼭꼭 눌러줍니다.

    하루정도 실온에서 숙성 후 냉장고에 넣고 약 한달 이상 숙성해줍니다.

    반응형